DotCube Protocol Ecosystem
닷큐브 프로토콜의 Ecosystem은 한마디로 정의하면 “확장형” 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개되어 있는 오픈형 DotCube Protocol(닷큐브 프로토콜) 에서 정의되어 있는 기술적 아키텍쳐, 네트워크 표준, 다양한 콘텐츠 제작 표준 및 저작 도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Business Entity 는 닷큐브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스스로의 메타버스를 구축하여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개되고 확장 지향인 네트워크 내에서 DotCube Protocol Chain 은 플랫폼 참여자 모두가 생산자 이자 소비자가 되는 다중적 Ecosystem 을 구성하게 된다.
메타버스 환경은 단순히 3D 기반의 가상 공간으로서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사용자들은 오프라인과 유사하거나, 연결되거나, 확장된 경험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험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3D 기반의 게임과는 차별화되는 메타버스의 특징적 요소이며 따라서 메타버스 내에서는 현실 세계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연결되고 확장된 서비스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닷큐브 프로토콜 은 이와 같은 메타버스 특징을 극대화 하기 위한 기술적 기반으로써 닷큐브 프로토콜 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계층이 수평적-수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즉, 일반 사용자 및 비즈니스 사용자들은 단순하고 일방적인 수요자와 공급자의 관계를 넘어서서 모든 사용자가 잠재 공급자이자 수요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닷큐브 프로토콜 내에서의 실물 상품 기반의 온-오프 통합 구조를 넘어서 사용자 경험을 확장 할 수 있는 다양한 메타버스 환경을 만들고 상품을 생성, 유통, 소비하는 구조를 전체 사용자 구성원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닷큐브 프로토콜 상에서 서비스가 예정되어 있는 AI 작곡 엔진 기반의 음원 유통 체계, 몰입형 아트 전시관, 온-오프 통합 기반의 명품 커머스, 온-오프 연계 기반의 반려 동물 라이프사이클 서비스, 헬스 빅데이터 기반의 노인 치매 예방 및 관리 서비스, 초중고 교육 메타버스 서비스 등 외에도 개방형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 벤더의 참여가 예상되고 있다.
아울러 적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은 모든 데이터들에 대한 저장공간을 중앙화된 한 집단이 아닌 공유하는 모든 이들에게 책임과 권리를 나누고 언제 어디서든 확인하고 증명 가능하도록 탈중앙화된 원리를 적용한 기술이다. 블록은 하나의 데이터로써 블록(Block)이 되고 데이터를 저장한 블록은 실시간으로 연결(Chain)되어 모두가 공유할 수 있다. 모두가 확인하고 모두가 증명했기에 위변조가 어려우며 보안 기능 및 투명성이 뛰어난 기술이다. DotCube Protocol Chain은 이와 같은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성과 최적 결합이 가능한 아키텍쳐로 적용된 닷큐브 프로토콜 과 연결됨으로써 투명하고 강력한 Protocol Service의 신뢰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금융데이터를 완벽하게 보호하는 차세대 보안기술도 제공하고자 한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