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PC Business Model
Last updated
Last updated
닷큐브 프로토콜 체인의 비즈니스 모델은 앞 장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닷큐브 프로토콜에서 다양한 비즈니스 주체들 간의 디지털 Asset, 실물, 지적 재산권의 거래가 이루어 지고 이를 결제하기 위한 기축 통화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DCPC는 닷큐브 프로토콜의 Ecosystem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수료 기반의 수익 모델이다. 이를 프로토콜에 참여하게 되는 참여자를 기준으로 보면
일반 사용자는 기본적으로 재화를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플랫폼 내 Swap Center 또는 외부 거래소를 통해 DCPC를 구매하여 프로토콜로 구성된 플랫폼에 진입한다. 단, DCPC의 가격 변동성으로 인하여 각 플랫폼 내 Swap Center에서 고지하는 실시간 환율을 기준으로 거래가 진행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Digital Asset 등을 제작하여 판매하는 경우, 실물 상품을 플랫폼 내 중고 거래 장터를 통해 판매하는 경우, NFT 마켓플레이스 플랫폼을 통해 NFT를 판매하는 경우 등 수익을 얻게 될 수 있다. DCPC를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DCPC 플랫폼은 일정율의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여 판매자에게 차감액을 송금한다.
서비스 공급업체의 경우 재화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고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DCPC로 결제를 받게 되며 결제 수수료를 차감하고 송금 받게 된다. 또한 닷큐브 프로토콜 에코 시스템내 진입하는 서비스 공급자가 자사 보유 또는 기존 서비스에서 활용하는 암호화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암호화폐를 플랫폼 내 Swap Center에서 DCPC로 전환하거나 수익으로 확보된 DCPC를 해당 암호화폐를 구매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wap Center 를 활용하는 경우 플랫폼은 일정율의 환전 수수료를 청구할 수 있다.
각 서비스별로 사용자의 활동에 따른 마일리지나 서비스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각 서비스 공급자는 자사 서비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멤버쉽, 마일리지, 서비스 포인트를 플랫폼 내에서 사용하도록 할 경우 해당 서비스 포인트의 사용을 위해 DCPC를 구매하여 교환 공급할 수 있다. (단, 서비스 사업자의 포인트와 DCPC 간의 환전은 각 서비스 사업자별 약관, 각 서비스 국가별 관계 법령에 따라 시행된다.)
이와 같이 DCPC는 닷큐브 프로토콜에 참여하고 있는 각 서비스의 중심 통화로 기능하며 DCPC 의 스테이킹 정책에 따라 예치 보유를 할 수 있다.